#e-data #지적재산권 #저작권 #밀리미터 #MM코인 #밀리미터토큰 #블록체인 #비트맨
블록체인이라는 것은 획기적인 기술입니다. 투명하게 내역을 공개함으로써 신뢰를 얻게 해주는 것이니까요. 그런데 이 블록체인 생태계가 원활하게 구성되기 위해서는 보상이라는 것이 필연적으로 필요한데요. 그 과정에서 나오는 것이 토큰이나 코인이 되는 것이고요. 사람들은 토큰이나 코인에 투자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코인의 가격이 떨어지는 경우 그 코인은 아무리 숭고하고 좋은 목표를 가지고 있더라도 사람들에게 외면을 당하게 되는데요. 코인 가격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토큰이코노믹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 코인의 토큰 이코노믹스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요.
밀리미터 토큰은 산업 전반에서 사용되거나 만들어지는 데이터를 E-data화 하여 제공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기여할 수 있는 생태계 구성을 위해 노력합니다. 그러한 과정에서 만들어진 토큰 이코노믹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토큰 이름 : 밀리미터 토큰
티커 : MM
총공급량 : 20억개
토큰유형 : erc-20 토큰
컨트랙트 주소 : 0xC3c221fE28c33814c28c822b631fd76047eF1a63
토큰 분배 :
세일물량 - 전체 공급량 대비 25퍼센트 5억개, 매월 판매량의 한계 설정으로 유통량 조절
리워드물량 - 전체 공급량 대비 5퍼센트 1억개, 디자인 등록, 저작권자 리뷰 등으로 보상 제공
연구 개발 물량 - 전체 공급량 대비 15퍼센트 3억개, 유통량 관리를 위해 2년 락업 후 매월 1퍼센트씩 해제 총 물량이 풀리기 위해서는 124개월 필요함
팀 물량 - 전체 공급량 대비 15퍼센트 3억개, 주주와 팀원 할당 무량 2년 락업 후 매월 1퍼센트씩 해제 연구개발 물량과 동일한 구조
회사 물량 - 전체 공급량 대 40퍼센트 8억개, 3년 이상 락업된다고 함
이상의 토큰 분배 계획을 살펴보면 초기 세일 물량이 많다는 생각도 들었으나 핵심적인 것은 유통량을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달려있는데 너무 많은 유통량이 공급되지 않도록 팀에서 매트릭스를 설계하였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재밌는 것은 MM토큰의 경우 플랫폼 토큰과 거래소 토큰의 스왑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이 되어 있는 것인데요.
플랫폼 내에서 받게 되는 MM토큰의 경우 EOS 기반의 토큰으로 받게 되고 거래소에서 거래는 ERC-20 기반의 토큰으로 할 수 있게 됩니다. 플랫폼에서 MM토큰을 받게 되는 경우 거래소에 송금하기 위해서는 자동으로 스왑이 되서 보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요. 이는 이더리움 기반의 토큰의 수수료가 너무 높기 때문에 플랫폼 내부에서는 EOS 기반으로 생태계가 이뤄지고 판매를 하기 위한 이더리움 브릿지를 제공함으로써 이것들은 모두 해결하고자 하는 팀의 생각이 반영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토큰 매트릭스에 대한 글을 작성하고 있는 오늘 나온 따끈한 소식입니다. 위의 내용을 정정해야 하겠네요. 일단 기사내용 첨부합니다.
밀리미터토큰(MM), 10억 개 물량 소각 공시
⚡️[쟁글 공시]
https://xangle.io/project/MM/recent-disclosure/606fa8618ff71b5eb7372cff
❣️ 밀리미터토큰(MM)상장 거래소
- 빗썸, 플랫타익스체인지
밀리미터토큰(MM) 2021년 4월 14일 토큰 가격 안정화와 유통물량 조절 및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토큰 소각을 실시합니다. 토큰 소각 결과에 대한 공시는 Xangle을 통해 사후 공개될 예정이며, 이번 토큰 소각을 포함해 총 10번의 소각을 1년 반의 기간에 걸쳐 진행할 예정입니다.
각 소각 세션마다 1억 MM 토큰을 소각할 예정이며, 이는 총 토큰 공급량의 50%에 해당하는 수량입니다.
❣️ 밀리미터토큰(MM)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디자인(2D/3D, AR/VR, 의상디자인, 3D 프린팅 등)의 도면 창작자와 해당 도면의 수요자를 온라인상에서 연결해주는 국내 최초 블록체인 기반 도면 거래 플랫폼입니다.
❣️ 최근 ‘클레이튼’ 메인넷으로 전환하면서 약 5,000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과 연계하여 향후 카카오톡 내 탑재된 가상자산 지갑 클립(Klip)에 탑재될 예정이고, 이로써 사용자들의 접근성과 활용도를 대폭 높일 계획입니다.
위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현재 20억개인 토큰 공급량을 10억개로 바꾸고 (1억개씩 지속적으로 소각을 한다고 합니다.) 거기에 덧붙혀서 클레이튼으로 메인넷을 전환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이는 카카오 생태계에서 역할을 하겠다는 의미이며 또한 수수료 부분에서도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시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향후 로드맵은 위와 같다고 하는데요. 2021년 3분기에 어떠한 일을 하는지 나와있지 않아서 아쉽습니다만 그래도 로드맵대로 차근차근 진행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특히 올 1분기에 글로벌 메이저 거래소 상장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잘 지켜졌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빗썸에 상장이 되었는데 혹자는 빗썸이 글로벌 거래소가 아니라고 하실 수도 있지만 한국내에서 업비트와 함께 글로벌 거래소라고 해도 손색없을 정도의 위상과 거래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로드맵이 지켜진 것이라고 판단이 됩니다.
현재 대규모 에어드랍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아래 내용 참고부탁드립니다. 비트맨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大규모 에어드랍! 비트맨x밀리미터 이벤트!!
비트맨 X 밀리미터 에어드랍 이벤트
👑1번 이벤트 '밀리미터가 미래다'👑
밀리미터를 주제로
네이버블로그를 작성해서 소개해 주세요! 참여하신 분들에게 아래와 같은 상품을 드립니다.
1등 : 밀리미터 토큰 1000개 에어드랍
2등 : 밀리미터 토큰 500개 에어드랍
3등 : 밀리미터 토큰 250개 에어드랍
참가자 : 30명 각 밀리미터토큰 100개씩 에어드랍.
📣2번 이벤트 '밀리미터를 알려라'📣
밀리미터에 관한 얘기로 비트맨을
채워주시는 모든 분들에게
밀리미터 토큰 20개를 에어드랍 해드립니다.
(500명 한정)
이벤트 기간
2021년 4월 6일 ~ 4월 9일